안녕하세요 안*도 학생!
Donan과 junction potential을 비교해가면서 공부하다니 너무 좋은 공부 방법인 것 같아요.
10강의, liquid junction potential case 두 번째 그림에서 Cl은 왜 고려하지 않냐는 질문이 맞으실까요?
junction potential에서, 맨 처음의 양 쪽 솔루션 사이에 ion들이 농도차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고, 이 때문에 생기는 potential difference에 의해 junction potential이 생긴다고 설명드린 바가 있습니다.
따라서, liquid junction potential을 고려할 때 중요한 것은 + 또는 - 전하의 분극에 의한 E-field 기울기예요.
두 번째 그림에서는, HCl 0.1M과 KCl 0.1M에서 Cl-이온의 농도가 양 쪽에서 같기 때문에 Cl- 이온에 의한 E-field 기울기가 따로 발생하지 않을 것이고, 이 때문에 그림 및 설명에서 생략했습니다.
물론, Cl- 이온 역시 양 방향으로 이동이야 하겠지만, Cl- 이온의 경우 농도 기울기가 없어서 오른쪽, 또는 왼쪽으로 이동하는 데에 있어서 겉보기에 (Cl-에 의한) E-field 기울기가 생기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에요.
감사합니다 ^^